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루는 버릇에는 반드시 핑계가 따른다.

by 꼬마돌 2025. 2. 3.
반응형

미루는 버릇에는 반드시 핑계가 따른다.

 

어머니가 아프셔서친구의 아버지가 돌아가셔서외국에서 중요한 손님이 와서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아서생각보다 어려운 일이라서더 좋은 결과를 낳기 위해

 

한두 번의 핑계는 넘어갈 수 있지만, 그 이상이 되면 신뢰를 상실하게 되고, 무시를 받게 되어 스스로 어려운 지경으로 추락한다.

 

나의 누이가 겪은 사례이다. 검사를 지낸 변호사에게 사건을 부탁했는데, 이 사람이 기한 내에 법률문서를 법원에 제출하지 않아 누이가 패소하여 엄청난 손해를 봤다.

 

변호사는 누이에게 싹싹 빌면서 손해배상을 해주었다. 그 변호사가 나의 누이의 건에만 그렇게 게으름을 부렸던 것이 아니었던 모양이다. 이 글을 쓰기 바로 직전에 그의 이름을 검색해보니 더이상 변호업을 하지 않는지 이름이 찾을 수 없었다.

 

글쓰기를 직업으로 하는 사람들은 대개 미루기를 당연시한다. 하지만 미루기를 몇 번 반복하다간 밥줄이 끊어진다. 내 경험상, 내가 최선을 다해서 원고를 썼을 땐, 출판사는 설사 그 원고가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내 정성을 고려하여 별로 질책하지 않는다. 다시 기회를 주거나, 내가 더 잘 쓸 수 있을 것 같은 프로젝트를 제시한다. 하지만 게으름의 흔적이 농후할 땐, 차갑게 등을 돌린다.

 

베스트셀러 작가라고 하면 출판사들이 원고를 받기 위해 경쟁적으로 줄 댈 것이라 믿겠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꾸준하게 글을 쓰는 작가에게만 그렇게 하고, 게으름을 피우다가 어쩌다 인기를 끈, 게다가 형편없는 원고로 베스트셀러를 낸 작가에겐 싸늘하다. ‘요행이 그 작가에게 반복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어느 분야에서나 꾸준하게 노력하면 최소한 일거리가 끊이지 않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