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

자연법칙과 인간의 한계, 그리고 긍정적 사고의 맹점 자연법칙과 인간의 한계, 그리고 긍정적 사고의 맹점인간은 자연법칙 속에서 살아간다. 우리의 모든 행동, 생각, 그리고 사회적 활동(거래 등)은 자연법칙의 범주를 벗어날 수 없다. 자연법칙을 무시하면 절벽에서 추락하듯, 비극적인 결과를 맞이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때때로 자연법칙을 초월할 수 있다고 착각한다. 성경에는 하나님이 태양을 뒤로 물러가게 하고, 바닷물 사이로 길을 내며, 죽은 이를 다시 살리는 기적을 행하셨다고 기록되어 있다. 예수는 물 위를 걷고, 물을 포도주로 바꾸며, 죽은 자를 되살리는 능력을 보였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인간에게 초자연적 가능성을 꿈꾸게 하며, 어떤 이들은 평생 이 경지에 도달하려 노력하지만 결국 허무하게 시간을 낭비하기도 한다.   그러나 성경 속 .. 2025. 2. 1.
-자연법칙은 가차 없다- -자연법칙은 가차 없다- 아인슈타인 박사라도 우주의 자연법칙을 믿지 않는다면, 죽는 수밖에 없다(If Mr. Einstein doesn't like the natural laws of the universe, let him go back to where he came from). - 로버트 벤츨리(Robert Benchley, 컬럼니스트•영화배우)  유튜브(YouTube)에는 가파른 절벽 혹은 고층건물 옥상의 난간에서 셀피(selfie)를 찍다가 추락사하는 장면의 동영상이 많이 올라있다. 육체는 땅과 충돌하면서 분리되고, 으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왜 사람들은 저렇게 위험한 행동을 하는 것인가? 목숨을 걸만큼 셀피가 중요하기 때문일까, 아니면 자신은 어떤 경우건 사고를 당하지 않을 것이라 자신하기 때문일.. 2025. 2. 1.
긍정이라고 해서 항상 좋은 것이 아니다 우리는 긍정적 사고를 ‘좋은 것’이라 믿으려 한다. 아니 반드시 그렇게 믿어야 한다.조금이라도 의심하면 죄가 된다. 그러나 경험상,긍정적 사고는 거의 실패로 끝난다.부정적 사고보다 끝이 안 좋을 때가 너무 많다. 그래서 생각해 보았다.우리가 긍정적 사고를 맹신하는 이유는 당장의 현실에서 안정을 유지하기 싶기 때문이다.손발을 놀려 일하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깊이 생각하는 고통을 감당하기 싫기 때문이다. 가만히 앉아서 안정을 취하는 것은 설탕처럼 달콤하다. 그러나 문제가 있다.자연법칙은 달콤한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설탕이 각종 성인병을 유발하는 것처럼삶의 안정화는 인생을 파멸로 이끈다. ‘모든 것이 잘 될 것’이라는 사고는육체적, 정신적인 설탕이다.설탕은 충치를 촉진하고 당뇨의 원인이다.  긍정적 사고는 설.. 2025. 2. 1.
반응형